Data Visualization - Brexit 투표 결과 분석하기 Part2
데이터 출처 : www.kaggle.com/electoralcommission/brexit-results
2016 EU Referendum in the United Kingdom
How did population demographics impact the Brexit vote?
www.kaggle.com
ipynb file : github.com/sangHa0411/DataScience/blob/main/Brexit_Analysis.ipynb
sangHa0411/DataScience
Contribute to sangHa0411/DataScienc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Part1에서는 Brexit 투표 결과를 분석 및 시각화하기 위해서 census.csv 데이터를 이용해서 UK 에 속하는 각 나라별 인구 수 차이를 확인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지역구 이름을 연결지어서 referendum 에 있는 지역구가 어디 나라에 속하는지를 알아보고 해당 지역구의 투표 결과 정보를 이용해서 England 그리고 Wales에서의 투표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Part2에서는 Scotland 와 Northen Ireland에 대한 투표 결과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cotland에 대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Scotland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20개의 지역구들의 정보를 가져옵니다.
먼저 투표결과를 파악하기 이전에 각 지역구의 인구 수와 유권자의 수를 파악해보겠습니다.
England 와 Wales 지역들을 분석할 떄와 같이 유권자수가 전체 인구수의 절반보다 더 높은 수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England 와 Wales의 지역구의 대도시 인구수와 비교해보았을 때 인구수가 많이 차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cotland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은 10개의 도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Brexit 투표 결과를 분석해보겠습니다.
Scotland 의 10개의 대도시 모두 Remain이 Leave보다 훨씬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Scotland에서 Leave 투표수가 더 많은 도시 , Remain 투표수가 더 많은 도시의 갯수를 파악해서 비율을 계산해보겠습니다.
놀랍게도 Scotland는 모든 도시가 Remain의 투표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Leave 투표 수 그리고 Remain 투표 수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전체 투표수를 비교해보아도 Remain 투표 수가 Leave 투표 수 보다 훨씬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ferendum 데이터에는 Northen Ireland 지역구가 있는 것이 아니라 Northen Ireland 자체가 있기 때문에
해당 인덱스를 파악해서 데이터를 바로 이어 붙였습니다.
이제 Northen Ireland의 데이터를 분석해보겠습니다.
Leave와 Remain 투표 수를 비교한 결과 Remain의 투표 수 대략 10%정도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Scotland 및 Northen Ireland 모두 Brexit에 반대하였고 그 비율이 Brexit 찬성하는 비율보다 훨씬 컸지만 England 및 Wales의 인구 수가 훨씬 많고 England 및 Wales 에서 Brexit에 찬성 하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최종 결과 Brexit가 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